[임원칼럼-황정미 세계일보 편집인] 시험대 오른 윤·이 회동 > 임원진 칼럼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사 가입      

임원진 칼럼

[임원칼럼-황정미 세계일보 편집인] 시험대 오른 윤·이 회동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325회 작성일 2024-04-30 09:44

본문

尹 “이 대표 이야기 많이 듣겠다”
소통리더십으로 국정 위기 수습해야
巨野의 李, 국가 미래 책임 무거워져
전 국민 25만원 지원 공약 재고해야


“총선 민의에 따라 대화와 협력의 정치를 해야 한다. 우리가 새 정치의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자.”

 

“전반적으로 모든 것을 존중하고 서로 신뢰하는 정치가 있어야 하겠다. 이런 것이 잘 될 때 야당도 적극적으로 협력할 용의가 있다.”

황정미 편집인

2000년 4월24일 김대중 대통령과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가 청와대 영수회담에서 나눈 대화다. 4·13 총선에서 패배한 김 대통령 제안으로 이뤄진 자리였다. 그날 두 사람은 ‘국민대통합의 정치를 펼쳐 나간다’ ‘여야 영수회담을 필요한 경우 수시로 개최한다’ 등 11개 항에 합의했다. 실제 두 달 후 이 총재 요청으로 열린 영수회담에서 의약분업 관련 합의로 의료대란 출구를 만들기도 했다.

 

이번주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처음으로 한 테이블에 앉는다. 두 사람처럼 한 차례도 회담을 갖지 않은 정권은 없다. 더욱이 야당 협조 없이 정부 법안 처리가 힘든 여소야대 정국에서는 대통령이 먼저 손을 내미는 게 정상이다. 이제라도 윤 대통령이 이 대표를 ‘범죄 피의자’가 아니라 ‘협상 파트너’로 받아들인 건 반길 일이다. 진심으로 그렇게 생각하는지는 중요치 않다. 대통령 말대로 “국정 최우선은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 셋째도 민생”인데 거대 야당 힘을 빌리지 않고 민생 정책을 실현할 방법이 없다. 이 대표는 거야의 실질적인 대주주다.


두 사람이 첫 만남에서 김대중·이회창 회담처럼 협치의 틀에 합의할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상대를 향해 쏟아낸 적대적 발언 수위를 감안하면 불가능 쪽에 가깝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달라진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정치적 미래가 없다는 걸 모르지 않을 것이다. 당사자 미래뿐 아니라 국가 미래에도 변곡점이다. 임기가 3년 남은 대통령의 변혁이 핵심이다. 총선 참패 후 10여일간 대통령실과 여당 행태는 지리멸렬했다.

 

윤 대통령의 첫 육성 메시지는 반성과 쇄신보다 변명과 회한으로 채워졌다. 공식 라인을 거치지 않은 박영선 총리-양정철 비서실장설은 대통령 귀를 잡고 있는 인사들의 ‘무뎃포 정치’를 보여줬다. 용산이 선거 실패 책임을 느끼지 못하니 여당에선 비대위 구성은커녕 갑론을박이 벌어진다. 비선 논란으로 번진 인사 난맥상 수습을 위해서든, 20%대로 추락한 지지율에 놀라서든 영수회담 제안은 최소한 대통령의 위기 의식이 작동한 징후로 읽힌다.

 

이번 회담에서 이 대표의 정치적 근수(斤數)도 드러날 것이다. 그는 대선 패배 후 당 대표직과 극성 지지층을 방패 삼아 자신의 사법 리스크를 피하는 데 주력했다. 당 안팎의 비판 여론에도 집요하게 ‘이재명의 민주당’을 만들었다. 거센 정권 심판 바람을 타고 175석을 거머쥐었지만 그가 이를 감내할 리더십을 보이느냐는 이제부터다. 대승 결과에도 애써 차분한 기색을 보인 데는 이 대표 스스로 그 무게감을 느낀 연유일 테다.

 

이 대표가 0순위 회담 의제로 올려놓겠다는 민생회복지원금이 ‘리트머스 시험지’다. 전 국민에 1인당 25만원을 풀겠다는 공약은 선거용으로 재미를 봤을지 몰라도 정책으로는 잃는 게 더 많다. 국채를 발행해 13조원을 조달해야 하는데 국가채무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50%를 넘은 마당에 미래 세대 부담만 키운다. 지원금 소비 효과가 30% 안팎에 불과한 데다 ‘대파값’ 파문이 여당 총선 참패 요인으로 꼽힐 정도로 고물가 시대에 역행한다. 국가 미래와 정책 책임을 나눠져야 할 거대 야당 지도자로선 재고하는 게 맞다. 국민들이 미래를 저당잡아 공짜 돈 받기를 좋아한다고 믿는 정치인은 시대착오적이다.

 

첫술에 배부르랴는 말은 국내외 사정을 감안하면 한가한 얘기다. 국민 피해가 더 커지기 전에 의정 갈등을 수습해야 하고 민생 대책을 협의할 여야 창구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 “이 대표 이야기를 좀 많이 들어보려고 용산에 초청했다”는 윤 대통령이 소통·경청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 이 대표도 국정 운영의 파트너십으로 호응해야 한다. 정치 안정 없이 두 사람이 늘 강조하는 민생은 허언에 불과하다.


원문보기 : https://www.segye.com/newsView/20240422515675?OutUrl=nave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62건 10 페이지
임원진 칼럼 목록
제목
827
826
열람중
824
823
822
821
820
819
818
817
816
815
814
813
게시물 검색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프레스센터 1311호   전화: 02-723-7443   팩스: 02-739-1985
Copyright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All rights reserved.
회원사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