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칼럼-진세근 편집인협회 사무총장]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이다 > 임원진 칼럼

본문 바로가기
회원가입    로그인    회원사 가입      

임원진 칼럼

[회원칼럼-진세근 편집인협회 사무총장]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이다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550회 작성일 2021-11-26 10:15

본문

진세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사무총장·서경대학교 광고홍보콘텐츠학과 겸임교수 


중국 역사에서 명군(名君)은 몇 명쯤 될까? 그 숫자를 정확히 알 순 없겠지만 명군의 정의만큼은 분명하다. 중국 역사가들이 꼽은 명군의 조건은 네 가지다.

첫째, 나라를 세우거나 천하를 통일한 군주다. 진(秦)시황제(始皇帝), 한(漢) 태조(太祖) 한 광무제(光武帝), 수(隋) 문제, 당(唐) 고종, 명(明) 태조 등이다.

둘째, 최고의 성세(盛世)를 이룩한 군주다. 한 문제, 한 무제, 당 태종, 당 현종, 명 성조(成祖), 청 성조(聖祖)쯤 된다.

셋째, 국가가 기울어가고 사직이 흔들리는 쇠망기에, 탁월한 지도력으로 나라를 다스려 국가를 중흥시킨 군주다. 한 선제(宣帝), 당 헌종(憲宗)이 여기에 해당한다.

넷째, 국가를 창건하지도, 성세를 이끌지도, 중흥을 이루지도 못했지만 중흥의 기틀을 다진 군주다. 진(晉) 명제(明帝), 위(魏) 효문제(孝文帝), 진(陳) 문제(文帝), 주(周) 무제(武帝), 주 세종(世宗)이 꼽힌다.



영웅들의 눈에 가장 끌리는 군주는 아마도 창업 군주일 것이다. 하늘의 뜻을 받아 백성을 일으켜 구악(舊惡)을 일소하고, 혁명 정부를 세우는 것만큼 매력적인 일이 또 있을까.

이게 아니라면 성세 군주쯤은 되고 싶을 것이다. 이처럼 역사 위에 우뚝 설 일도 드물기 때문이다. 이것도 아니라면 내리막길을 내닫는 국가의 수레바퀴를 멈춰 세우고, 재등정을 성공시킨 업적은 어떤가? 성세 못지않은 매력적인 목표임에 틀림없다.

문제는 이 세 가지 목표가 오늘의 세상에서는 뜬구름 같다는 점이다. 치밀하게 조직되고, 촘촘하게 외부와 연결된 국가를 뒤집고 새 국가를 세우는 일이 어디 가능한 노릇인가? 성세나 중흥은 또 어떤가? 대통령 혼자 힘으로 될 일이 아니다.

남은 선택지는 하나, 중흥의 기초를 놓는 일이다. 지도자 혼자만 제대로 깨어 있으면 할 수 있는 일이다. 욕먹을 각오하고, 사욕(私欲)을 공적인 욕구로 승화시킨다면 못할 것도 없다. 이게 현대적 의미의 개국이고, 진정한 개벽(開闢)이라고 믿는다.

개벽은 개천벽지(開天闢地)의 줄임 말이다. 하늘을 열고 땅을 쪼갠다는 말이다. 새로운 천지를 연다는 의미다.

조선의 백성에게 개벽은 소망과 동의어였다. 동학의 ‘후천(後天) 개벽’ 사상이 그렇다. 양반 중심의 사회가 끝나고 백성들이 바라는 새로운 세상, 즉 후천이 열릴 것이라고 동학은 얘기했다. 선천(先天) 시대에 억눌린 사람들이 참다운 자유와 평등을 얻게 될 세상이 후천이다. 살아 있는 이 땅에서 일궈낼 세상이다.

원불교를 개창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 대종사는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 법어를 내걸었다. 물질문명만 발전하고 정신문명이 뒤처지면 제대로 된 문명이 될 수 없으니 정신문명을 일으켜, 정신과 물질이 하나 되는 완전한 문명을 이루자는 말씀이다.

정신개벽을 이루는 방법으로 원불교는 삼대력(三大力)을 제시했다. 정신수양으로 얻는 수양력, 사리탐구로 얻는 연구력, 노동으로 얻는 취사력이다.

대통령 후보들이 어떤 군주를 꿈꾸는 지, 우린 모른다. 분명한 건 과욕을 품으면 진다는 점이다. 선거에서 승리해도 마찬가지다. 역사에서 ‘혼군’(昏君·나라를 망친 어리석은 군주)으로 기록될 것이니 결국은 지는 셈이다.

후보들에게 제안한다. 창업, 성세, 중흥 같은 과욕은 내려놓으시라. 대신, 중흥의 초석 놓기에 집중하시라. 대권(大權)이 아니라 대임(大任)에 주목하시라.

원문보기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848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807건 9 페이지
임원진 칼럼 목록
제목
687
686
685
684
683
682
681
680
679
678
677
676
675
674
673
게시물 검색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4 한국프레스센터 1311호   전화: 02-723-7443   팩스: 02-739-1985
Copyright ©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All rights reserved.
회원사 링크